R 시험준비2(전공의 시험준비: 유기인계 해독제 등 내외산소 정리) :: 진자연구소

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R 시험준비2(전공의 시험준비: 유기인계 해독제 등 내외산소 정리)
    KMLE준비(유니온북스 하이패스) 2021. 9. 8. 13:00
    728x90
    반응형

    M/34, comatose, 90/60-40-10, 매우 차가운 피부

     

    저체온에서 발생한 의식저하의 치료

    서맥, 저혈압, 얕은 호흡은 장기간 심한 추위에 노출되었을 때 나타나는 저체온증의 특징적인 증상에 해당한다.

    심전도에서 PR 증가, QT 증가, QRS파 바로 뒤에 나타나는 양전된 J파가 뒤따르는 ‘Osborn J wave'를 보인다.

    체온이 28°C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 심정지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가온된 공기로 기계환기, 따뜻한 수액 투여 등 재가온요법을 시행한다.

     

    저체온증의 분류 & 치료

     

    기도삽관의 적절성 평가는 호기말 이산화탄소분압(ETCO2) 또는 esophageal detection device를 사용해 정확한 기도삽관 여부를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오답해설]
     - 양측 흉부청진은 위가 팽만한 상태에서 호흡음이 들릴 수 있는 주관적인 평가 방법에 해당한다.
     - 기관 내 삽관튜브 내 수증기를 확인하는 것은 기도삽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지만 확정적이지 않다.

     

    이식 후 면역거부반응의 종류

    신장이식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비뇨기계 합병증 및 조치

    수술 직후 소변량 감소가 있는 경우 도뇨관 폐색 or 초급성 거부반응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가장 먼저 생리식염수 세척을 통해 도뇨관의 patency 확인한다.
    [오답해설]
     - 스테로이드나 OKT3 투여는 이식 후 수 일~수 주 내 발생하는 급성 거부반응에서 시행할 수 있는 치료방법이다.
     - 이식신 제거는 이식 후 수 분~수 시간 내에 허혈 소견이 관찰되는 초급성 거부반응에서 시행하는 치료방법이다.

     

    중독 약제에 따른 해독제 종류

     

    유기인계 해독제의 작용 기전

    유기인계 농약(Organophosphate)은 아세틸콜린 분해에 작용하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AChE)를 차단하여 아세틸콜린 축적에 의한 부교감 신경의 과잉 자극을 일으킨다. 아트로핀무스카린성 수용체를 억제하여 항콜린성 증상(산동, 분비물 억제)을 유발하며, 2-PAM은 AChE 재활성화로 근육 마비, 근경련 등의 니코틴성 증상에 효과적이다.

     

    M/50, 평소 normal EKG

     

    중심정맥관 삽입의 합병증

    심실 부정맥과 각차단은 중심정맥카테터를 거치하는 과정에서 자주 나타난다. 우측 심장이 유도철사 또는 카테터에 의해 자극 받을 때 흔히 발생한다. 환자는 심전도에서 multifocal PVC가 새롭게 나타났으며 유도선 삽입과 연관성이 높다. 유도선의 깊이를 15cm 이내로 제한할 경우 부정맥의 발생을 피할 수 있으며, 환자의 움직임만으로도 3cm 가량 카테터가 이동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Seldinger procedure

    728x90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