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체중 출생아 간호(ft.미숙아, 조산아, 이른둥이) :: 진자연구소

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저체중 출생아 간호(ft.미숙아, 조산아, 이른둥이)
    KMLE준비(유니온북스 하이패스) 2023. 9. 30. 12:03
    728x90
    반응형

    [순서]

    1.보육기

    2.산소투여

    3.감염 방지

    4.영양 공급

    5.수유의 시작

    6.퇴원 기준

     

    **저번주에 신생아중환자실(NICU,니큐라고도 하고 줄여서 NCU라고도 함)에 1.79kg 신생아가 입실했습니다.

    스스로 정리하는 차원에서 이전 국시자료를 한번 열어보았습니다.

     

    1.보육기

    (1)온도 : 중성 온도 환경에서 간호받을 때 생존 가능성 향상됨

      1)중성온도 : 심부 체온을 정상(36.5-37.0)으로 유지하기 위한 열 생산을 최소로 하는 온도 환경

      2)아기가 작을수록, 미숙의 정도가 심할수록, 더 높은 온도를 필요로 하게 됨

    (2)습도 : 40-60%

     

    2.산소투여 : 청색증, 빈맥, 무호흡 등의 산소투여 적응증이 있을 때는 증상을 없애는 최소 농도로 투여 (∵고산소증으로 인한 미숙아 망막증[ROP] or 기관지폐이형성증[BPD]을 예방)

     

    3.감염 방지

    (1)손씻기가 가장 중요!

    (2)접촉하는 모든 음식과 사물의 오염, 직/간접적인 신생아들 간의 접촉을 막아야 함

    (3)최소한의 조작(minimal handling)

     

    4.영양 공급

    (1)호흡곤란, 저산소증, 순환 부전, 과량의 분비물, 구역질, 패혈증, CNS 억제 상태, 미숙 또는 중병의 징조가 있을 때는 경구영양 금지 → 비경구영양이나 경관영양이 필요함

    (2)경구영양의 조건

      1)GA >34주, 출생체중 >1500g (∵ <34주면 흡철반사/연하반사가 미숙함)

      2)활동적 장음이 들리고, 태변이 배출되어야 함

      3)복부 팽만이나 복막염 증세가 없어야 함

      4)담즙이 위 내용물에 섞여 있지 않아야 함

    (3)경관영양

      1)코위관을 통한 영양 공급

      2)적응증 : GA <34주, 체중 <1500g

    (4)총정맥영양(TPN) :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 <1000g ), 미숙아, 난치 설사증후군 or 광범위 장 절제 환자

     

    5.수유의 시작

    (1)조기에 포도당액이나 분유를 주어서 저혈당, 탈수, 황달의 위험을 감소시킴

    (2)조건 : 흡인의 위험이 없고, 호흡곤란이 없고, 정맥으로 전해질/수액/열량공급이 필요하지 않을 때

     

    6.퇴원 기준

    (1)아기가 수유를 잘하고, 지속적인 체중 증가(10-30g/day)가 있어야 함

    (2)실온에서 체온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함

    (3)무호흡 발작이나 서맥이 없어야 함

    (4)비경구로 투여되는 약물을 모두 끊거나 경구로 바꿈

       → 위 문제를 모두 해결하고 체중이 1800-2100g, 가정이 아기를 받아들일 준비가 되면 퇴원이 가능함

    (5)집에 가기 전에,

      1)1500g 미숙아와 1500-2000g으로 산소를 투여받은 아기 → 미숙아 망막증 선별검사

      2)모든 출생아 → 청력검사 및 빈혈 유무 확인을 위해 혈색소와 적혈구 용적을 검사함

      3)제대동맥 도자술을 시행받은 아이 → 혈압체크(신혈관 고혈압[renovascular HTN] 확인)

    728x90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