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아 하부 호흡기 감염KMLE준비(유니온북스 하이패스) 2023. 10. 6. 12:28728x90반응형
[순서]
1.급성 후두기관기관지염
2.급성 후두개염
3.급성 세기관지염
c.f> 사람의 기도를 흔히 상기도와 하기도로 구분합니다. 인두와 후두를 상기도, 기관부터 세기관지까지를 하기도로 분륳지만 이런 구분은 유동적입니다. 예를 들어, 상기도를 '흡입 공기를 가습 및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 역할의 기관'이라고 정의하면 후두는 기도에 포함되는 식입니다.(후두는 인두와 달리 상기도 폐쇄의 주요원인입니다.)
1.후두-기관 감염 : 개짖는 소리가 특징적이고 그외 목소리 변성, 흡기 시 천명, 흉벽 함몰 등이 관찰됩니다.
(1)급성 후두기관기관지염(Croup, 크루프, 크룹) : Parainfluenza virus(m/c)
1)증상 : ~3y, 미열이 동반되고 눕지 못하고 서있거나 앉아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야간에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가 많으며 빠르게 악화되다가 서서히 호전됩니다.
2)진단 : Neck AP/Lateral view(후두 아래부위가 좁아진 것으로 확인 가능합니다; 모래시계 모양, steeple sign)
3)치료 : 차가운 공기, Steroid(Dexa, Budesonide), Epinephrine nebulizer
▶ 소위 크루프/크룹 이라고 하며 최근 크룹으로 진단받은 소아가 적절한 치료를 받지못해 사망하는 안타까운 사고도 있었습니다. 야간에 증상이 급격히 악화되는 소아 중증 ★응급질환입니다.
<"고열 5세 '응급실 뺑뺑이'에 숨져" … 복지부 "사실과 달라"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63197>
(2)급성 후두개염(acute epiglottitis) : Hib
1)증상 : 2~7y, 고열, 침분비가 늘고 목소리가 갑자기 나오지 않으면서 급격히 호흡곤란으로 진행합니다. 개짖는 소리 기침(barking cough)은 드문 편입니다.
2)진단 : Neck Lateral view(부어있는 후두개로 확인 가능합니다; Thumb sign), 후두경 검사(확진법; 크게 부풀어 오른 붉은빛 후두개로 확인 가능합니다.)
3)치료 : 기관삽관(★응급), 기관절개술/ 항생제 치료(Ceftriaxone, Ampicilline-sulbactam) 합니다.
(3)세균기관염 : S. aureus
1)증상 : 고열이 동반되고 서서히 진행하는 편이며 증상이 심하지 않은 편입니다.
2)치료 : 차가운 증기와 항생제로 치료합니다.
(4)연축성 크룹 : 심인성 or 바이러스가 주 원인입니다.
1)증상 : 발열은 주로 동반되지 않고 호산구과다증이 특징입니다.
2)치료 : steroid 혹은 anti-histamine제로 치료합니다.
2. 급성 세기관지염(acute bronchiolitis)
(1)특징
1)영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하부 호흡기질환으로 작은 기도의 염증 및 폐쇄로 인해 발생합니다.
2)생후 2y. 이전의 영아에서 주로 발생(돌 전후로 높은 빈도)하고, 영아 입원의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2)원인 : RSV, Parainfluenza v., Adeno v., Rhino v., Mycoplasma 등
(3)증상
1)첫 증상은 상기도 감염입니다.(맑은 콧물, 재채기 등)
→ 빠른 속도로 진행하여 수일 안에 발작적인 천명성 기침(wheezing)이 들리고 호흡곤란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2)대체로 발열은 동반되지 않지만 폐 실질까지 병변이 퍼진다면 고열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3)진찰 상 빈호흡화 폐의 과팽창, 청색증 등이 관찰될 수 있습니다.
4)늑간/늑간 하부 함몰, 간과 비장이 늑골연 아래에서 촉진될 수도 있습니다.(d/t 폐의 과도한 팽창)
(4)검사
1)임상적으로 진단 : 이전에 건강했던 영아에서 첫번째 천명인 경우 의심할 수 있습니다.
2)가슴 X선 : 폐의 과팽창과 측면 사진에 흉곽 전후경의 증가를 볼 수 있습니다. (약 30%에서 consolidation 확인 가능)
3)비인두 분비물에서 효소면역검정법(enzyme immunoassay), PCR, 배양검사 등 가능합니다.
(5)치료
1)산소 공급(humidified O2), 수액보충(5% glucose+0.45% N/S), 비강/구강 흡인 등이 있습니다.
2)보조호흡기(호흡부전 시), Ribavirin(선천성 심질환, 만성 호흡기질환이 있는 경우), 항생제(세균성 폐렴 동반 시) 사용가능합니다.
(6)예방 : 단일클론항체(monoclonal Ab. to RSV, Palivizumab), RSV 면역글로불린(IVIG)
→ 고위험군 영아(선천성 심기형, 만성 폐질환)나 소아들에게 RSV 예방 목적으로 투여할 수 있습니다.
728x90반응형'KMLE준비(유니온북스 하이패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생아 소생술(NRP) (0) 2023.10.10 저체중 출생아 간호(ft.미숙아, 조산아, 이른둥이) (1) 2023.09.30 척추측만증이란? (1) 2023.09.30 R 시험준비19(전공의 시험준비: 발진 및 발열 등) (0) 2021.11.01 R 시험준비18(전공의 시험준비: 유방멍울, 발작 등) (0) 2021.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