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폐암의 임상양상 및 진단KMLE준비(유니온북스 하이패스) 2021. 3. 29. 17:00728x90반응형
1)임상양상
(1)기침, 호흡곤란 : 주로 central type입니다.
(2)흉통, 팔 & 어깨 통증 : 주로 peripheral type입니다.
(3)객혈, 체중감소
(4)기도 폐색 시 : 무기폐, 폐쇄 후 폐렴(post-obstructive pneumonia), 폐농양(lung abscess)
(5)전이된 장기에 따라 여러가지 증상이 발현 가능(뇌 전이, 골 전이 등)합니다.
2)진단
(1)선별검사(무증상의 고위험군)
①5대 암 검진 권고안에는 미포함(cf. 위, 대장, 간, 유방, 자궁경부암)됩니다.
②CXR + sputum; Low-dose spiral CT
(2)조직학적 진단
①기관지내시경 : 7mm 굵기의 내시경을 코나 입으로 넣어서 기도와 기관지를 직접 눈으로 보는 검사입니다. 육안적으로 1~2mm 크기의 조직을 검사 집게로 떼어 내어 검사할 수 있습니다(비교적 접근이 쉬운 중심성 병변 부위의 조직을 얻는데 사용합니다.).
②경피세침흡인생검(Percutaneous needle biopsy) : 기관지내시경 등으로 접근이 어려운 말초부위 병변 조직을 얻거나 세포진 검사를 위해 시행합니다.
③초음파 기관지내시경(EBUS) : 기관지내시경 끝부분에 초음파 탐촉자가 달린 기관지내시경을 이용하여 초음파 영상을 보면서 종격동이나 폐문에 위치하고 있는 종괴나 림프절을 세침흡인하는 검사입니다. 초음파 내부에 가는 관이 있어서 이를 통해 검사에 필요한 액체(약물, N/S)를 기관지나 폐로 주입하고 회수하거나 객담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④흉강내시경 or 개흉 폐 조직검사 : 기관지내시경 or 경피세침흡인생검으로 진단되지 않을 때 전신마취 후 가슴을 일부 개흉하는 수술을 통해 조직검사를 시행합니다.
(3)종양표지자 : CEA, NSE, Ferritin, β2-microglobulin
cf. 폐암은 국립암센터의 7대 암 검진 권고안에는 포함되어 있고, 30PY 이상의 흡연력이 있는(금연 후 15y 경과한 ex-smoker는 제외) 55~74y의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LDCT를 이용한 폐암 선별검사를 매년 시행하도록 권고합니다.
728x90반응형'KMLE준비(유니온북스 하이패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암의 치료 (0) 2021.03.30 고립성폐결절(SPN) (0) 2021.03.29 폐암의 병리학적 분류 (0) 2021.03.29 비알콜성 지방간질환(NAFLD)/지방간염(NASH) (0) 2021.03.23 지방간, 지방간염 (0) 2021.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