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과 산전진단KMLE준비(유니온북스 하이패스) 2021. 6. 15. 10:00728x90반응형
**Triple test
1) αFP + HCG + E3
+ Inhibin(Quadruple test)
+ fetal nuchal translucency in USG(integrated screen)
2) Down syndrome : MSAFP↓, hCG↑, E3↓(inhibin↑)
3) 나머지 Trisomy : MSAFP↓, hCG↓, E3↓
**Abnormal MSAFP
1) MSAFP가 증가하는 경우입니다.
(1) MoM <2.0 → 정상
(2) MoM ≥2.0
①standard US를 시행합니다(GA, twins, fetal demise 확인). ± 필요한 경우 MSAFP를 재측정합니다.
②standard US에서 GA도 정상이고 twin이 아니며 fetal demise가 없는 경우에는,
• (초기 측정치 or 필요시 재측정한) MoM <2.5 = 정상
• (초기 측정치 or 필요시 재측정한) MoM ≥2.5
− Specialized sono로 태아기형을 확인합니다.
− Specialized USG로도 확인되지 않으면 양수 천자(양수 αFP & AchE)를 시행합니다.
* 쌍둥이일 경우 upper threshold는 3.5 입니다.
2) MSAFP가 감소하는 경우입니다.
USG to verify GA(정확한 GA 측정이 필수입니다.) → verified GA면 Amniocentesis 및 유전 상담을 진행합니다.
**Prenatal counseling and diagnosis가 필요한 경우 :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chorionic villous sampling or amniocentesis를 실시합니다.
1) 출산 시 산모 나이가 ≥35y
2) 이란성 쌍둥이 임신인 경우 산모 나이가 ≥31y
3) 예전에 Trisomy/47,XXX or 47,XXY/Triploidy 출산한 경험(+)
4) 부부 중 한 사람이 Chromosomal abnormality
5) 반복되는 조기 유산
6) 초음파에서 심각한 태아의 구조적 결함
→ 위의 경우 Triple test 결과와 상관없이 Amniocentesis를 시행합니다.
**융모막융모생검(Chorionic villous biopsy, CVS)
1) 검사 시기 : 10~12w(lst trimester)
2) 장점 : 빠른 진단과 처치
3) 단점 : 합병증 多
4) 방법 : US를 보면서 Chorion frondosum에서 aspiration합니다.
5) 임상적 이용 : 염색체 이상(Neural tube defect는 해당 없습니다.)
**양수천자(Amniocentesis)
1) 검사 시기 : 16~18w
2) 검사항목 : 염색체검사, 효소검사, αFP, acetylcholinesterase
3) 임상적 이용 : 염색체 이상, Neural tube defect, lung maturity
cf) Twin일 경우 Sac을 구분하기 위해 indigo carmine을 이용(methylene blue는 금기입니다.)합니다.
cf) Early amniocentesis(11~14w)는 pregnancy loss rate가 증가합니다.
**탯줄천자(Cordocentesis)
1) 검사 시기 : 20w 이후
2) 적응증 : 염색체 이상, 태아 감염
**유전질환의 종류와 출생 결함
1) 유전질환 : 다유전자성, 다인자성 질환이 m/c합니다.
2) 유전 질환의 종류
(1) 염색체 이상
①염색체 수의 이상 : autosomal trisomy(13,18,21), 터너, 클라인펠터 등
②염색체 구조의 이상 : deletions(5p결손−고양이울음증후군, 22q microdeletion syndrome, 15q11-13결손−Prader-Willi 증후군 & Angelman 증후군), duplications, translocations, isochromosomes, inversions(inv(9)(p11q12)-normal variant)
(2) 단일 유전자 이상
(3) 다유전자성(polygenic)
(4) 다인자성(multifactorial) 질환(m/c)
(5) 결함유발물질에 의한 질환
3) 출생 결함의 기전에 따른 분류
(1) 기형(Malformation) : 내인적 원인에 의한 결함(ex, 유전자 이상)
(2) 변형(Deformation) : 외인적 원인에 의한 성장장애(ex, 양수과소증에 의한 기형)
(3) 파열(Disruption) : 외인적 원인에 의해 정상구조가 파괴(ex, 임신 초기 양막파열로 인한 하지결함)728x90반응형'KMLE준비(유니온북스 하이패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암(Lung cancer) 정리 (0) 2021.06.17 식도암 (0) 2021.06.16 부정맥 총정리 (0) 2021.06.14 약물 정리 - 당뇨병, 우울증, 항불안제, 항정 (0) 2021.06.13 뇌하수체샘종 (Pituitary adenoma) (0) 2021.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