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 시험준비11(전공의 시험준비: 저체온증 환자 심폐소생술 등)KMLE준비(유니온북스 하이패스) 2021. 10. 14. 15:21728x90반응형
M/62, 대장암 수술 수 2주 간 TPN 중 장기간 TPN의 부작용
사진은 입술 주위의 피부와 점막이 손상된 angular cheilitis를 보여주며, 이는 전형적인 Zinc 결핍시 나타나는 소견이다.
장기간 TPN을 시행할 때는 미량원소(Zn, Cu, Se) 결핍, Vitamin K 결핍으로 인한 응고장애, 필수 지방산 결핍 등을 반드시 주의해야 한다.
• Cu 결핍: 주로 신경학적 증상을 나타낸다(Optic neuropathy, Peripheral neuropathy, Anemia).
• Se 결핍: T4 to T3 conversion에 중요함[Hypothyroidism의 증상 (피곤, 변비, 추위 등)]
• Mg 결핍: 과흥분, 근육계통 증상이 주요하다(불면, 과흥분, 근육경직, 진전 등).<M/46, cholecystectomy 후 설치한 배액관에서 담즙 600mL 배출됨>
위장관 분비물 소실에 따른 수액 보충
위장관 분비물은 각각에 따라 Na+, K+, Cl-, HCO3- 등의 전해질 함량이 다르므로, 소실되는 분비물에 따라 적절한 보충 수액의 선택이 필요하다.
담즙은 Na+=145, K+=5, Cl-=100, HCO3-=35(mEq/L) 함량을 보이며, 특히 HCO3- 소실이 있으므로 이를 보충할 수 있는 Hartmann’s solution이 가장 유리하다.M/40, 심부체온=27℃, EKG=A.Fib, 제세동 1회 실시 저체온증 환자의 심폐소생술
심전도상 제세동이 가능한 경우에는 즉시 제세동을 시도한다.
제세동 후에도 심실빈맥이나 심실세동이 지속된다면, 정상체온 환자에서의 심정지와 같이 표준 심폐소생술 지침에 따라 제세동을 준비하되, 체온을 함께 올려야 한다.rule of 9 <M/60, B.W=60kg, 우측 상/하지 전체에 심부 2~3도 화상>
Parkland 수액 요법
환자는 우측 상지(9%) + 우측 하지(18%)= 27% TBSA의 화상을 입었다고 가정한다.
첫 24시간 수액 공급량은 다음과 같다.총 수액 공급량의 절반을 첫 8시간에 나눠 투여하고, 나머지 절반을 그 후 16시간 동안 투여하므로, 환자에게 첫 8시간에 투여할 양은 약 3200mL 이다.
F/52, LC환자가 전신 마취하 수술 예정, 수술 전 보충해야하는 수혈제제 간질환 환자의 술전 처치
간질환에서 다수의 응고인자 활성이 저하되고 출혈경향이 있는 환자는 수술 전 이를 교정하고 진행해야 한다.
현재 PT 및 aPTT가 연장되어 있으며 이는 간질환으로 인한 응고인자 결핍을 시사한다.
PT >참고치 중간값의 1.5배(또는 INR >1.6), aPTT >참고치 상한의 1.5배, 응고인자 <30% 인 경우에는 신선동결혈장(FFP) 수혈의 적응증이 된다.728x90반응형'KMLE준비(유니온북스 하이패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R 시험준비13(전공의 시험준비: 기도내 이물질 등) (0) 2021.10.16 R 시험준비12(전공의 시험준비: 유방암 치료, 수면제 과다복용 등) (0) 2021.10.15 R 시험준비10(전공의 시험준비: 십이지장 천공, 위암 수술 후 발열 등) (0) 2021.10.01 R 시험준비9(전공의 시험준비: 갑상샘절제술 합병증 등) (0) 2021.09.30 R 시험준비8(전공의 시험준비: 심폐소생술, 저체온증, 전기화상 등) (0) 2021.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