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 시험준비12(전공의 시험준비: 유방암 치료, 수면제 과다복용 등)KMLE준비(유니온북스 하이패스) 2021. 10. 15. 16:00728x90반응형
<F/38, 4cm mass, 변형근치적 유방절제술, 절제한 림프절 24개 중 3개에서 전이(+), triple negative>
유방암의 치료
환자는 4cm 크기의 종양과 림프절 양성이므로 수술 후 항암화학요법의 적응증이 된다.
호르몬 수용체는 모두 음성이므로 Tamoxifen(SERM)의 적응증은 아니며, HER2/neu(-) 이므로 Transtzumab의 표적치료의 대상에도 해당되지 않는다.
※유방암 치료별적응증
1) 항암화학요법(70세 이상에서는 효과가 적어 다른 치료 접근이 필요함)
① 크기 >1cm
② 림프절 양성
2) 항암방사선요법
① 크기 >5cm
② 림프절 양성 >4개
③ Resection margin(+)
④ 진행성/염증성 유방암의 피부침범
3) 호르몬 치료(SERM: Tamoxifen)
① Estrogen receptor(+) 또는
② Progesterone receptor
4) 종양유전자 표적치료(Trastuzumab)
① HER2/neu(+)F/48, 전갑상선절제술 후 호흡곤란, 상처부위 부종/동통 발생 갑상선 절제술 후 합병증
목 부위의 수술 후 Sudden massive bleeding은 드물지만 수술 환자 300명당 1명 꼴로 발생한다. 80% 이상에서 술후 6시간 이내에 발생하며 거의 24시간 이내에 발생한다.
항응고제 복용 환자에서 발생률이 높다고 알려져 있으며,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으므로 즉각적인 상처 부위의 모든 suture를 개방하여 Tracheal compression을 경감시켜야 한다.
<F/47, 2cm mass, 중심부 조직검사 결과 유방 엽상종(phyllodes tumor)>유방 엽상종의 치료유방 엽상종 치료의 기본 원칙은 주위 조직을 포함하여 충분한 경계를 두고 절제해내는 것(Wide local excision)이며, 겨드랑이 전이는 매우 드물기 때문에 액와 림프절 절제는 필요없다. 그러나 엽상종이 매우 큰 경우에는 유방 절제술을 시행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M/43, 수면제 30알 복용 후 6시간 경과, mental=coma, 120/70-70-18>수면제의 과다 복용
위세척 또는 활성탄 투여는 약제가 위내 남아 있을 ‘복용 1시간 이내’에 가장 효과가 있다.
현재 환자는 활력징후가 정상 범위 내이며, 깊은 진정 상태 외에는 특이한 중독증상을 보이지 않고 있으므로, 기도를 확보한 상태에서 경과 관찰하도록 한다int. jugular v.을 통해 중심정맥도관을 삽입 시 카테터 tip의 위치 중심정맥관 삽입술
쇄골하 접근법 및 경정맥 접근법을 이용한 중심정맥관 삽입술 시 카테터의 끝이 상대정맥 하부에 위치해야 한다.
적정 삽입 깊이는 환자의 키와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다르겠지만, 심장 내로 삽입될 가능성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 체부의 어느 방향에서 카테터를 삽입하더라도 깊이가 20cm을 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초기 카테터 삽입 깊이는 우측 내경정맥/쇄골밑정맥은 14cm, 좌측은 18cm으로 한다.
가 - Clavicle level
나 - Carina bifurcation level
다 - SVC level
라 - RA level
마 - IVC level728x90반응형'KMLE준비(유니온북스 하이패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R 시험준비14(전공의 시험: ADHD 진단 및 치료, 소아 예방접종 등) (0) 2021.10.27 R 시험준비13(전공의 시험준비: 기도내 이물질 등) (0) 2021.10.16 R 시험준비11(전공의 시험준비: 저체온증 환자 심폐소생술 등) (0) 2021.10.14 R 시험준비10(전공의 시험준비: 십이지장 천공, 위암 수술 후 발열 등) (0) 2021.10.01 R 시험준비9(전공의 시험준비: 갑상샘절제술 합병증 등) (0) 2021.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