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 시험준비9(전공의 시험준비: 갑상샘절제술 합병증 등)KMLE준비(유니온북스 하이패스) 2021. 9. 30. 13:00728x90반응형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동안 ETCO2의 시간대별 경향성 심폐소생술 중 ETCO2의 이용
호홈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세포호흡의 결과물로써,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동안 호기말 이산화탄소분압(ETCO2)은 환자의 Cardiac output을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문제의 A지점에서 보이는 것처럼 ETCO2의 값이 점진적으로 10-15mmHg로 떨어지는 경우 심폐소생술을 통한 적절한 체순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시행자가 힘이 떨어질 때 주로 발생한다. 이 때 손을 바꾸게 되면 체순환이 재형성되어 B지점처럼 ETCO2가 20mmHg 위로 상승한다.
※심폐소생술 중 ETCO2 측정의 이용
1) 예후 판정 : 심폐소생술 시행 20분 후 측정한다.
• >20mmHg : R0SC의 가능성이 있다.
• <10mmHg : ROSC의 가능성이 매우 떨어진다.
2) ROSC 판정
• Pulse가 느껴지기 전에 ETCO2가 먼저 상승하는 경향이 있으며, 일정하게 유지되던 값이 급격히 상승한다.F/50, 복부팽만, 3개월 간 7kg 체중감소, 조직변역화학검사 상 kit ptn(+) 위장관기질종양의 진단
컴퓨터단층촬영에서 위벽에서 발생하여 바깥쪽으로 크게 자란 점, 검체에서 kit(+)가 나온 점으로 보아 위장관 기질종양(GIST)을 진단할 수 있다. GIST는 Cajal 간질세포 기원으로 위장관 벽의 근육층에서 발생하며, 대개는 증상이 없지만 발생 위치나 크기에 따라 복통, 속쓰림 등의 증상을 보인다. 경우에 따라 악성일 때도 있으며, 증례처럼 체중감소를 동반할 수도 있다. 양성인 경우 치료는 완전 절제를 목표로 위쐐기절제술을 시행하며, 림프절 절제는 드물기 때문에 필요하지 않다. 전이성 GIST에서는 Imatinib을 고려한다
M/42, 복부창상, active bleeding(-), 다른 장기 손상(-) 장기 노출 복부 창상의 관리
창상에 의해 내부 장기가 노출된 경우, 장기의 건조 손상을 막고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수술 전 조치가 필요하다. 먼저 창상 주변을 Iodine solution으로 처치하고, 장기는 생리식염수를 적신 거즈로 감싼 후, 멸균된 비닐(Tegaderm, Ioban 등)로 창상 주변을 밀봉한다.
F/50, 하루 전 갑상선 전절제술, 호흡곤란 호소, alert, 의사소통 가능, 120/80-100-30-37.0 갑상샘절제술 합병증의 관리
갑상샘전절제술 시행 이후 발생한 합병증인 혈종으로 인해 호흡곤란을 호소하는 증례이다. 급격히 진행되어 기도를 더 심하게 압박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즉시 창상을 재개방하여 압력을 풀어줘야 한다.
<M/65, 뇌졸중으로 비위관 영양, 최근 하루 5-6회 구토, 폐흡인으로 반복적인 폐렴 발생>
경장영양요법
경구 섭취가 불가능하지만 위장관계의 기능이 정상일 때에는 경장영양을 실시한다. 금기증이 없으면 가장 비침습적인 비위관영양을 시행하나, 문제의 환자처럼 구토/폐 흡인이 반복되는 경우 다른 방법을 찾아봐야한다. 보기 중 흡인의 위험을 줄이면서 가장 덜 침습적인 방법은 위루관 삽입이다. 경정맥영양법은 신부전, 화상, Bowel Resection과 같은 일차 적응증이 있거나, 장폐색 등과 같은 경장영양의 금기증이 있을 때 고려할 수 있다.728x90반응형'KMLE준비(유니온북스 하이패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R 시험준비11(전공의 시험준비: 저체온증 환자 심폐소생술 등) (0) 2021.10.14 R 시험준비10(전공의 시험준비: 십이지장 천공, 위암 수술 후 발열 등) (0) 2021.10.01 R 시험준비8(전공의 시험준비: 심폐소생술, 저체온증, 전기화상 등) (0) 2021.09.29 R 시험준비7(전공의 시험준비: 배꼽탈장 등) (0) 2021.09.17 R 시험준비6(전공의 시험준비: 항문주위 농양 치료, 간암 등) (0) 2021.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