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콜성 간 질환KMLE준비(유니온북스 하이패스) 2021. 3. 22. 16:51728x90반응형
1)종류
(1)알콜성 지방간 : macrovesicular, 좋은 예후, 금주 3~6w 후 정상화됩니다.
(2)알콜성 간염 : 간경화의 전구증상
(3)알콜성 간경화 : micronodular
2)위험인자 : 알콜이 직접적인 간 독성 물질로 작용합니다.
(1)음주의 양과 기간이 가장 중요하고, 주종은 무관합니다.
(2)여자에서 높은 susceptibility
(3)HCV 감염 : severity↑, more advanced histology, survival↓
(4)유전성 : alcohol dehydrogenase, cytochrome P450 2E1과 관련 있습니다.
(5)영양 결핍 : vitamin, calorie 결핍
3)임상양상
(1)알콜성 지방간 : RUQ discomfort, hepatomegaly, nausea, jaundice
(2)알콜성 간염 : 대부분 무증상, fever, spider nevus, jaundice, abd pain 가능
4)진단
(1)알콜성 지방간
①검사소견 : mild jaundice(<5mg/dL), mild AST/ALT↑
②병리소견 : enlarged, yellow, greasy liver
- cytoplasmic fat vacuoles에 의해 distended hepatocyte
- large fat droplets(macrovesicular)
(2)알콜성 간염/간경화
①검사소견
- macrocytic anemia(MCV↑) : alcoholism의 specific marker; anemia의 원인 : GI bleeding, 영양 결핍(folate, vit B12), 비장 비대
- WBC↓, plt↓ by hypersplenism, alcohol에 의한 BM suppression
cf. PMN ≥5500㎣↑ → severe alcoholic hepatitis
- γ-GT↑(모든 형태의 지방간에서 non-specific), AST/ALT↑(AST/ALT >2)
②병리소견 : hepatocyte degeneration and necrosis
- Mallory's body(alcoholic hyaline) : eosinophilic intracellular aggregated of ptn like material
- infiltration by PMN
- pericellular fibrosis(fibrosis of space of Disse) → fibrosis 시, micronodular cirrhosis
- central hyaline sclerosis(deposition of collagen around the central v. and in presinusoid)
5)치료
(1)금주(m/i) → 간 크기↓
(2)영양공급 : BCAA, vitamin
(3)GC(prednisolone) : 심한 alcoholic hepatitis(PT↑, bilirubin↑↑, PMN leukocytes↑)
→ Pentoxifylline(TNF 합성 억제제) : GC 대체제
6)예후
(1)나쁜 예후인자 : 저명한 PT 연장(>5초), 빈혈, 저알부민혈증(<2.5mg/dL), 고빌리루빈혈증(>8mg/dL), 간 부전, 복수, 식도정맥류, 심한 간성 혼수, Cr↑
(2)알콜성 간경화 환자가 음주 지속 시, SR5Y은 <50% 입니다.
728x90반응형'KMLE준비(유니온북스 하이패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알콜성 지방간질환(NAFLD)/지방간염(NASH) (0) 2021.03.23 지방간, 지방간염 (0) 2021.03.23 결장암(Colon Cancer) (0) 2021.03.22 빈혈(Anemia) (0) 2021.03.18 약물 알러지(Drug allergy) (0) 2021.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