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식 정리 :: 진자연구소

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천식 정리
    KMLE준비(유니온북스 하이패스) 2021. 6. 18. 10:00
    728x90
    반응형

    천식의 정의
    1) 기도의 만성 염증 질환(Chronic inflammation)

    2) 기도 과민성의 증가(Hyper sensitivity)

    3) 가역적인 기도 폐쇄(Reversible airflow obstruction) : COPD와의 차이점입니다.

     

     

     

    천식의 유발인자
    1) Allergen : 집먼지 진드기(m/c)

    2) 감염 : URI, RSV, corona virus → 급성악화의 흔한 원인

    3) 약제 : β-blocker,ACEi, Aspirin
     (1) Aspirin sensitive asthma(non-IgE mediated)
      ① Rhinitis, nasal polyp이 선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② 기전 : COX(cyclooxygenase) 차단 → Leukotriene 증가(면역학적 기전×)
      ③ 대부분의 NSAIDs도 피해야 합니다(indomethacin,naproxen, ibuprofen 등)  .
      ④ Acetaminophen, selective COX-2 inhibitor(celecoxib) 사용 가능
      ⑤ 치료 : Inhaled corticosteroid

    4)운동
     (1) long-term sequelae를 남기지 않고, airway reactivity를 증가시키지도 않습니다.
     (2) 운동이 끝나고 5~10분 이내에 발생하여 15~20분 지속됩니다.
     (3) 차고 건조한 공기일수록 천식이 잘 유발됩니다.
     (4) 실내 수영은 괜찮습니다.
     (5) 예방 : 운동 전 β2-agonist, 규칙적 inhaled glucocorticoid

    5) 직업성 인자
     (1) TDI(도장작업),점박이응애(과수원 작업) 등
     (2) 일을 시작할 때는 괜찮다가 작업을 하면 진행되고,휴일이나 주말에 증상이 완화됩니다.

    6) 기타 : 음식,오존(ozone),호르몬,감정적 요인 등

     

     

     


    천식의 증상 및 진단
    1) 증상
     (1) 호흡곤란(dyspnea), 기침(non-productive cough), 쌕쌕거림(wheezing)
     (2) 야간증상 : 밤중 또는 새벽에 증상악화로 잠에서 깨게 됩니다.

    2) 진단
     (1) 진단은 특징적 임상양상과 PFT로 합니다.
     (2) Pulmonary Function Test(Obstructive pattern)
      ① FEV1 ≥80% 일 때 → Methacholine test or PEF 일중 변동성 검사
       a.Methacholine test : PC20(FEV1을 20% 이상 감소시키는 약물의 농도) 측정
       → 진단기준은 PC20 <8mg/mL or PC20 <16mg/mL
       b.Peak Expiratory Flow(PEF) 일중 변동성 검사 : 20% 이상 변화될 경우 = (+)
      ②FEV1 <80% 일 때 → 기관지 확장제 반응 검사
       a.기관지 확장제 반응 검사(또는 경구 스테로이드를 2~4주 복용 후 검사) K’20
        : FEV1이 12% 이상 AND 200mL 이상 증가한 경우 = (+)

     (3) skin test, sputum and blood eosinophilia, serum IgE : 보조적인 수단
      cf) 회복기의 PFT : 기관지 저항 정상화 → RV 감소, FEV1 상승

     

     

     


    천식의 치료
    1)조절제(Controller) : 증상이 없는 평소에 지속적으로 복용하는 것으로 천식 발작을 예방하기 위해 투여합니다.
      -Inhaled glucocorticoid(ICS)
      -Cromones
      -Leukotriene modifier
      -Systemic glucocorticoid
      -Long acting ß2-agonist(LABA)
      -Anti-lgE
      -Theophylline

    2)완화제(Reliever) : 급성 증상이 있을 때 이를 완화하기 위해 투여합니다.
      -Short acting ß2-agonist(SABA)
      -Systemic glucocorticoid
      -Anticholinergics(Muscarinic antagonist)
      -Theophylline
      -Short acting oral ß2-agonist

     

     

     

     

    천식의 급성악화
    1)분류(GINA 2019 guideline)

    2)치료 : SABA, Oral/IV glucocorticoid, O2(목표 : SaO2 93~95% 유지)

    3)추천되지 않는 치료 : 안정제,점액용해제,흉부물리치료,대량수액공급,항생제, epinephrine/adrenaline

     

    728x90
    반응형

    'KMLE준비(유니온북스 하이패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헬리코박터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0) 2021.06.20
    프로락틴 분비종양 (Prolactinoma)  (0) 2021.06.19
    폐암(Lung cancer) 정리  (0) 2021.06.17
    식도암  (0) 2021.06.16
    산과 산전진단  (0) 2021.06.15

    댓글

Designed by Tistory.